본문 바로가기
정보통신

엔지니어링 특급 기술자

by 팔벗 2025. 4. 25.
728x90
반응형

 

✅ 엔지니어링 특급 기술자란?

대한민국에서 엔지니어링 기술자는 「엔지니어링산업 진흥법」에 따라 기술사, 기사, 산업기사 등 자격과 경력을 종합해 분류되며, 그중 "특급" 기술자는 기술자 등급 중 가장 높은 등급으로, 고도의 전문성과 실무경험을 요하는 자리입니다.

 

📌 기본 요건 정리 (특급 기술자)

특급 기술자가 되기 위한 주요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한국엔지니어링협회 기준):

구분요건
기술사 자격 보유자 경력 7년 이상
기사 자격 보유자 실무경력 15년 이상
산업기사 자격 보유자 실무경력 17년 이상
관련 학위만 보유자 (학사) 실무경력 18년 이상
석사 학위 보유자 실무경력 16년 이상
박사 학위 보유자 실무경력 14년 이상

※ 실무경력은 해당 엔지니어링 분야의 실제 프로젝트 참여 및 관리 경험을 말합니다.

 

 

🛠️ 특급 기술자가 되기 위한 절차

  1. 관련 자격증 취득
    •    기술사, 기사, 산업기사 중 하나를 취득하세요.
    •    한국산업인력공단(HRD-Korea) 사이트에서 응시 가능
  2. 실무경력 쌓기
    •    실제 엔지니어링 프로젝트에 참여하면서 경력을 인증받아야 합니다.
  3. 엔지니어링 협회 등록 및 등급 심사
  4. 특급 기술자 등록증 발급
    •    심사 통과 시 "특급 기술자 확인서" 발급받게 됩니다.

 

💡 팁과 조언

  • 실무경력은 프로젝트 참여 확인서, 경력증명서, 근무확인서 등으로 철저히 준비하세요.
  • 기술사 자격증을 보유하면 특급 인정이 훨씬 수월해집니다.
  • 정부나 공공기관에서 수행하는 공공 엔지니어링 사업에 참여하면서 경력을 쌓는 것이 좋습니다.
  • 시공경력은 인정이 안됨. 유지, 유지보수, 감리 등만 경력이 인정됨.
  • 엔지니어링관련 회사의 경력은 100% 인정되지만 그외 회사는 60%만 인정됨.
  • 경력은 근무년수가 아니라 실제 프로젝트를 수행한 기간을 말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