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운성 개요
12운성은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 10간의 살고 죽음 기운의 흐름을 보는 것입니다. 기운이 강하면 복이 있다. 덕이 있다고 보고 기운이 약하면 고충이 있다고 봅니다. 만약 갑(甲)을 재물로 쓰는 사람이 있다면 갑(甲)의 흐름에 따라 재물복 유무를 따져 주식, 돈거래를 해야 하는지 하지 말아야 하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재물운이 좋으면 적극적으로 사업, 장사를 하고 그렇지 못하면 소극적으로 운영을 하고 등을 참조합니다. 암기법은 생욕대록왕쇠병사묘절태양으로 외우시면 됩니다.
12운성 구성 및 이해
장생(長生)은 처음으로 태어나서 어머니의 젖꼭지를 물고 있는 동안을 말합니다.
목욕(沐浴)은 조금 자라나 자기 손으로 밥을 먹고 제멋대로 자라는 시기를 말합니다.
관대(冠帶)는 성인이 되어 성혼하는 시기를 말합니다.
건록(建祿)은 과거에 급제하여 부모로부터 완전한 독립을 하는 시기를 말합니다.
제왕(帝王)은 사전 수전을 다 겪은 후의 만사에 능통한 시기를 말합니다.
쇠(衰)는 서서히 기울고 쇠퇴하기 시작하는 시기를 말합니다.
병(病)은 노쇠하여 병이 든 시기를 말합니다.
사(死)는 병이 깊어 죽는 시기를 말합니다.
묘(墓)는 무덤에 묻히는 시기를 말합니다.
절(絶)은 육신과 정신이 끊어지는 시기를 말합니다.
태(胎)는 영혼이 육신의 짝을 찾아 여인의 배속에 잉태되는 시기를 말합니다.
양(養)는 어머니 배속에서 자라 만삭이 된 상태를 말합니다.
장생, 목욕, 관대, 건록, 제왕, 쇠는 기운이 상승흐름으로 뭔가 일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시기입니다. 반대로 병, 사, 묘, 절, 태, 양은 기운이 쇠퇴하는 시기로 일을 소극적으로 버티기 복지 부동하는 시기입니다. 이런 순환이 12운성입니다. 양간은 기운으로 보고 음간은 기운이 남은 양으로 보면 이해가 쉽습니다. 예를 들면 병(丙)은 인(寅)에서 장생하여 기운이 서서히 커지는데 정(丁) 인(寅)에서 사(死)의 단계인 것은 병이 막 태어났기에 병이 지나고 난 다음 남은 양이 사(死)정도의 기운 밖에 안됨을 뜻합니다. 병(丙)이 유(酉)에서 사(死)하니 남은 양의 단위인 음간 정(丁)의 기운이 장생정도 양이더라로 이해를 하시면 됩니다.
12운성 올바른 참조
12신살이 환경 동작이라면 12운성은 기운의 크기 볼륨입니다. 기운이 크면 복이 있고 맘껏 구해도 좋지만 기운이 약하면 고충이 있으니 욕심을 부리면 안됩니다. 사람의 일생처럼 기운의 크기를 이해 하면서 참조한다면 한결 사주를 이해하고 참조하는데 도움이 클 것입니다. 사람이든 기운이든 만물이 태어나고 자라고 혼인하고 독립하고 최고의 자리에 오르고 늙고 병들고 죽고 묻히고 끊어지고 잉태하고 다시 태어나는 순환을 통하여 늘 한자리에 머물지 않는 이치를 깨우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금 가난하고 힘들다고 평생 그렇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지금 내가 최고라고 또한 영원히 그렇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힘들다면 조금 더 힘을 내고, 내가 최고라고 우쭐하지 않는 지혜가 12운성 속에 담겨 있습니다. 사주를 참조할 때도 이런 이치를 잘 알고 참조하시면 한결 더 나은 삶을 사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역학 정보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생살(財生殺) 재극인(財剋印) (0) | 2023.01.12 |
---|---|
겁살(劫殺) (2) | 2023.01.11 |
12신살 (0) | 2023.01.09 |
하루만에 끝내는 사주공부 (0) | 2023.01.05 |
해-원진-귀문 (1) | 2023.01.04 |